• 커넥트웍스 ver.Beta
    환영합니다! 로그인 회원등록
  • 지원사업 목록 실시간 등록 현황 캘린더 태그 검색 조직별 사업현황 맞춤형 스크랩 목록 사업관리 2025년 사업수 11,324 총 사업금액 34,767,797,047,557
  • 사업 등록현황 오늘 : 0건 어제 : 57건
환영합니다! 로그인 회원등록 2025년 사업 수 11,324 총 사업금액 34,767,797,047,557 지원사업 목록 실시간 등록 현황 캘린더 태그 검색 조직별 사업현황 맞춤형 스크랩 목록 사업관리
  • 지원사업 검색결과 (58건) 한국연구재단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3차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2단계) 기술개발 및 실증 신규과제 공모 긴급 대응 연구개발 및 실증 지원, 재난·안전 현장 적용 R&D, 정부출연금 지원, 연구성과 확산 및 현장 활용 지원 direction 본 사업은 재난·안전 분야 긴급대응 기술개발 및 실증을 목표로 한 R&D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3차 공고에서는 ▸맨홀 질식사고 예방 디바이스 및 서비스 실증 ▸음향 기반 재해 예측 웨어러블 안전도구·지능형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과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과제당 약 9억 원 규모의 지원이 제공되며, 주관·공동·위탁 연구개발기관 참여가 가능해 산학연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다만 신청자격·제한 요건(3책5공 규정, 재무건전성, IRB/LMO 등 규제)이 까다롭고, 청년 인력 의무채용 및 연구노트 관리 등 행정적 요구사항이 많아 연구기관 및 기업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긴급 현장 대응성과 국민 생활안전 기여도가 높은 연구를 중심으로 평가되므로, 기술 차별성과 실증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10.30 (오늘 마감일)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한-뉴질랜드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한국-뉴질랜드 양국 공동 R&D 자금 지원, 국제 공동연구 기회, 해외 연구자 네트워크 구축 direction 이 사업은 한국과 뉴질랜드 간 양자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정부 간 협력형 R&D 프로그램입니다. 양국 연구기관 및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하며, 기술협력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농업·바이오·에너지·디지털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 기회가 큽니다. 다만 일반 기업 단독으로 참여하기는 어렵고, 연구기관 또는 대학과의 컨소시엄 구성이 필수적이라는 점, 지원금이 과제 단위로 지급되어 소규모 기업에는 준비 부담이 크다는 점은 한계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10.30 (오늘 마감일) 총 사업비 2,0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5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원자력분야 정책연구용역(위탁)과제 해양용 용융염원자로(MSR) 주요설계기준(PDC) 연구 재공모 5개월간(2025.11~2026.3) 연구기간 동안 정책연구용역비 4천만 원 지원. 한국연구재단 위탁 과제로서 연구계획서 평가 후 협약 체결. direction 본 과제는 **한국연구재단(과기정통부 원자력단)**이 주관하는 정책연구용역으로, 차세대 **해양용 용융염원자로(MSR)**의 안전성과 규제체계 마련을 위한 주요설계기준(PDC) 정립 연구를 수행한다. IMO의 2050 탄소중립 정책 대응, 선박 탈탄소화, 해양 원자력 기술 기반 마련이 목적이다. 미국 NRC의 GDC(10 CFR Part 50 Appendix A) 및 RG 1.232 사례를 참조하여 MSR 전용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국내 개발 중인 해양용 MSR 설계와 연계해 실제 인허가 체계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기간이 짧고(5개월) 연구비 규모가 소규모(4천만 원)이므로 핵심 기준체계 정립 및 기술자문 중심의 정책연구에 적합하다. 주관기관은 국가연구기관, 대학, 정부출연연, 지자체출연연, 또는 관련 기업 모두 참여 가능하며, 연구책임자는 정규직 연구원이어야 한다. 접수 마감일 2025.10.31 (1일 남음) 총 사업비 4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4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국제공동연구 신속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美 에너지부 DUNE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탐색연구 과제 지원, 연구비 4억 원, 13개월간 국제협력 R&D 수행 direction 본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국제공동연구 지원사업으로, 글로벌 과학기술 이슈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DUNE 프로젝트(미국 DOE 주도 중성미자 실험)’ 참여 탐색연구 과제입니다. 선정 과제는 단 1개로, 13개월 동안 4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받습니다. 주관기관은 대학 또는 정부출연연구소로 제한되며, 기업은 공동 또는 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만 참여 가능합니다. 과제의 주요 목표는 핵심기술의 타당성 검증, 한국형 DUNE 컨소시엄 구성, 정부 간 협력 기반 마련으로, 국제협력 및 과학외교의 초석 역할을 담당합니다. 연구자 파견(최소 6개월 이상), 국제 협의체 참여, 컨소시엄 구축 등 고도의 기획·조정 역량이 요구되며, 순수 R&D보다는 전략형 탐색연구 성격이 강합니다. 연구기관 중심으로 고에너지물리, 검출기 기술, 데이터 분석 등 분야의 연구자에게 적합하며, 향후 한미 과학기술협력의 교두보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접수 마감일 2025.11.13 (14일 남음) 총 사업비 4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4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6년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조성사업 리더급연구역량강화(연구혁신형) 한-독 양자기술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접수 마감일 2025.11.17 (18일 남음)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극한부품 시험입증지원사업 Track형 실증지원 신규과제 공모 국방·우주 등 극한환경용 부품(터치컨트롤러 IC, QRNG 암호칩, 이미지센서)의 신뢰성 입증·실증을 위한 연구비 및 실증시험 지원 direction 본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국방·우주용 핵심 부품 실증 중심의 고난도 기술지원 프로그램이다. 민간이 개발한 반도체·센서 등 극한환경 부품의 신뢰성 검증을 통해 무기체계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방산·우주 분야 국산화율 향상에 기여하는 점이 특징이다. 중소·중견기업 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참여 가능하며, R&D 과제 형식으로 운영되어 인건비·시험비·장비비 등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다만 신청 절차(IRIS 등록, 연구윤리·차별성 검토 등)가 복잡하고, 기술성·사업화 가능성 평가 기준이 엄격하여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접수 마감일 2025.11.26 (27일 남음) 총 사업비 2,724,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908,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4차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2단계) 기술개발 및 실증 신규과제 공모 direction 중복신청 불가, 동일 RFP 내 1책만 신청 가능 위탁연구기관은 특수기술 위탁에 한함 (동일주제 금지) 과제기획 참여자는 신청 불가 IRIS 접수 완료 후 수정 불가 선정 후 기관·책임자 변경 불가 연구계획서 내 AI 도구 사용 시 명시 의무 청년고용 친화형 R&D 의무채용 제도 적용 정부출연금 5억 원당 청년 1명 채용 의무 접수 마감일 2025.11.26 (27일 남음)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6년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조성사업 리더급연구역량강화(연구혁신형) QuantERA 양자기술연구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QuantERA는 유럽 30개국 40개 기관이 참여하는 범유럽 양자기술 연구지원 네트워크로, 한국연구재단(NRF)이 2025년 아시아 최초로 가입. 이번 공모는 국제공동연구 형태로 추진되며, 최소 3개국(3개 기관) 이상의 연구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함. 한국측 연구팀은 기초(연 3억 이내) 또는 응용(연 5억 이내) 연구를 3년간 수행하며, 국제 학술대회 2편, SCI급 논문 2편을 필수성과로 제출해야 함. direction 본 사업은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추진하는 국제 다자간 양자기술 연구협력 사업으로, QuantERA(범유럽 RFO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양자연구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첫 본격 프로그램입니다. 국내 연구팀은 유럽 내 연구기관들과 함께 양자컴퓨팅, 통신, 시뮬레이션, 센싱 등 5대 분야 과제를 공동 수행하며,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 신진 리더급 연구자 육성, 국제 논문 및 특허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컨소시엄 내 국적·성별·산업계 참여의 다양성이 권장되며, 예산은 국가별로 별도 지원됩니다. 신규 진입 교수 및 중견 연구자에게 특히 적합한 국제협력형 연구기회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12.08 (39일 남음) 총 사업비 1,5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9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원자력분야 정책연구용역(위탁)과제 해양용 용융염원자로(MSR) 주요설계기준(PDC) 연구 공모 △연구기간 5개월(‘25.11~’26.3) △연구비 4천만원 △해양용 MSR의 안전규제 기반 마련 △설계기준(PDC) 정립 △국제 기준(GDC) 비교분석 △국내 MSR 개발연계 및 정책 반영 △한국연구재단 공식 과제로 수행 및 정책자료로 활용 direction 본 과제는 해양용 차세대 원자로(MSR)의 설계 안전기준(PDC) 정립을 목표로 하는 고급 정책·기술 연구과제이다. 미국 NRC GDC(10 CFR Part 50 Appendix A)와의 정합성 분석 및 해양환경 특성 반영이 핵심이며, 차세대 SMR 기술개발과 규제체계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의미가 크다. 원자력 정책, 설계안전, 규제프레임워크 분야 연구경험을 가진 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전문연구원)에 적합하다. 접수 마감일 2025.10.20 (마감됨) 총 사업비 4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4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제3차 과학기술분야 연구기획과제 공모 국가 전략·기초원천·정책성과·국제 분야 연구기획 과제 수행 연구비 지원, 연구관리비(간접비) 포함 direction 본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정책기획 단계 연구과제로, 국가전략기술·AI·반도체·바이오·국제협력 등 핵심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연구비 규모는 과제별로 2천만 원에서 1억 원 수준이며, 연구기간도 6~9개월로 비교적 단기 과제입니다. 따라서 본격적인 R&D라기보다는 정책 기획·전략 수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참여 자격은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기관·단체로 제한되어 있어 주관연구기관 역량이 중요합니다. 연구책임자는 1과제만 신청할 수 있어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며, 정책 반영 가능성과 연구 수행 전략의 적합성이 주요 평가 기준이 됩니다. 접수 마감일 2025.10.02 (마감됨) 총 사업비 1,03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2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양자컴퓨팅) 신규과제 공모 초전도·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팅 핵심기술 및 1,000큐비트급 QPU 개발, Cryo-CMOS, 오류정정 알고리즘, 광제어 요소기술 등 풀스택 기술 확보 연구비 지원 direction 본 사업은 한국의 양자컴퓨팅 기술력을 글로벌 선도국 수준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대규모 플래그십 과제입니다. 초전도·중성원자 기반으로 총 1,764억 원 이상이 투입되며, 연구자는 임무지향형 RFP별 과제에 참여 가능합니다. 연구기간은 4년 3개월(’25.10~’29.12)이며, 대형 과제는 1,229억(초전도 양자프로세서), 253억(중성원자 QPU) 등 장기간·대규모 지원이 특징입니다. 다만 연구책임자·기관 자격 및 3책5공 제한, 중복 신청 제한 등 참여 제한이 엄격하고, 연구데이터 관리(DMP) 및 IRIS 시스템 기반 행정절차를 충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국내 산·학·연 연구진에게는 양자분야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30 (마감됨) 총 사업비 176,422,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국제공동연구 신속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글로벌 R&D 이슈 대응 위한 국제공동연구비 지원, 핵심기술 선점, 공공조달 연계 가능성 direction 본 사업은 국제공동연구 신속대응 트랙으로, 글로벌 기술환경 변화에 따라 긴급 대응이 필요한 과제를 대상으로 합니다. 장점은 ① 15개월 단기 집중 연구로 초기 시장·기술 선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② RFP별로 구체적 연구주제(희토류 배제 영구자석, AI 반도체 냉각소재)가 명확하여 전략적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총 15억 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이 투입되며, 단일 과제당 최대 9억 원 지원이 가능해 중대형 연구기관·기업 협력 연구에 적합합니다. 다만, 평가 절차(서면+발표)가 엄격하고 연구데이터 관리, 청년 고용 의무, 기관부담금 등 준수사항이 많아 준비가 미흡할 경우 탈락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기술 차별성, 국제공동협력 증빙(MOU, LOI 등), 청년 고용 계획을 명확히 준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18 (마감됨) 총 사업비 1,5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6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하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재공고 원자력 정책 및 현안 연구과제 수행, 연구개발비 지원, 정책 반영 기회 direction 본 사업은 원자력 정책 개발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성격의 R&D 과제입니다. 5개 과제로 나뉘어 총 22억 원 규모이며, 연구기관·대학·출연연·기업 모두 참여 가능합니다. 과제는 기획연구 및 현안 분석 중심으로, 대형 실험 장비가 필요한 기술개발 과제가 아니어서 중견·중소 연구기관 및 전문 연구팀에도 기회가 있습니다. 특히 정책 반영 가능성이 큰 연구 주제(원자력진흥계획, 핵연료주기, TRU-SMR 적용, 중입자가속기 활용, 비파괴검사 제도 개선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제 수행 후 정책·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높습니다. 다만 지원금액이 개별 과제당 45억 원 규모로 제한적이며, 연구기간(68개월)이 짧아 실질적 연구보다는 정책 자료·기획 보고서 성격이 강합니다. 따라서 정책연구 전문 인력이 있는 기관에는 적합하나, 산업체 단독참여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16 (마감됨) 총 사업비 22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4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재공고 국방 중점 분야 핵심기술 개발(R&D) 연구비 지원, 산학연 컨소시엄 수행 가능 direction 본 과제는 국방 분야의 장기적 기술 수요를 반영한 고난도 R&D 과제입니다. 초음속 구조 안전성(플러터 억제)와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 기반 융합 영상기술이라는 두 가지 주제가 제시되었는데, 이는 국방 무기체계와 감시정찰 기술의 핵심 난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개발기관은 대학, 출연연, 기업 등 모두 참여할 수 있으나 기업 참여 시 자부담 규정이 적용되며, 청년고용 의무 등 조건도 포함됩니다. 장점은 국가 전략 기술과 직접 연계되는 연구를 통해 향후 방위산업 진출 및 기술사업화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다만 단기간(2년 6개월) 내 고난도의 성과를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역량, 인프라, 컨소시엄 구성력이 충분치 않다면 선정되기 어렵습니다. 기존 국방R&D 경험과 고급 연구인력 보유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17 (마감됨)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공고 국방 분야 핵심 기초원천기술 개발 연구비 지원, 산·학·연 협력, 국방 현안 기반 기술 실증 및 활용 연계 direction 본 사업은 국방 수요 기반의 기초원천기술 연구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군 활용성이 높고, 방사청과 협업하여 실증까지 연계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총 2년 6개월간 안정적인 연구비 지원이 가능하고, 초음속 항공기 플러터 억제, 다중파장 센서 영상융합, 생체모방형 드론 카메라 등 미래 국방 전략기술 분야에 특화된 과제를 다룬다. 다만, 과제당 연구비 규모가 4억 원 수준으로 대규모 인프라 연구에는 제한적일 수 있고, 보안·군사 관련 규정 준수가 필수적이므로 연구자에게 높은 행정적 책임이 따른다. 국방 분야와 협업 경험이 있는 산학연 기관에는 좋은 기회이나, 신규 진입 기관은 제도적 장벽을 고려해야 한다. 접수 마감일 2025.08.29 (마감됨) 총 사업비 1,2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4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제2차 바이오ㆍ의료기술개발 사업 신규과제 2차 재공모 바이오·의료 핵심 원천기술 R&D 지원, 연구비·장비구축, 지자체 예산 연계 지원 direction 본 사업은 국가 차원의 바이오·의료기술 선도 전략에 맞추어 장기간(3+2년) 대형과제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연구기관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다. 다만 선정규모가 1개 내외로 경쟁률이 매우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청자격(지역 내 기관 제한, 연구책임자의 자격요건 등)이 엄격하여 실제 도전 가능한 기관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과제 기획 단계에서 기존 연구성과와의 차별성 확보, 지자체 협력 기반, 인력·시설 역량 입증이 핵심 경쟁 포인트가 될 것이다. 기업의 경우 연구개발전담부서 또는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요건이 필요하며, 기관부담금과 청년고용 의무가 부과되므로 재무적·인적자원 준비가 충분한 곳에서만 도전하는 것이 적합하다. 접수 마감일 2025.08.27 (마감됨) 총 사업비 610,72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5,95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하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 공고 direction 이 사업은 원자력 정책·제도 개선 및 기획연구 중심으로, 기초 연구라기보다는 정책적 의사결정을 뒷받침할 분석/기획용 연구과제입니다. 연구비 규모는 상대적으로 소액(4천만~5천만 원 수준)이지만, 정책영향력이 크고, 정부정책 로드맵(원자력진흥계획, SMR 전략, 연구생태계, 제도개선 등)에 직접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대학·연구기관의 정책연구자, 산학연 정책팀, 기업 내 제도·기획 부서가 수행하기에 적합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04 (마감됨) 총 사업비 27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조성사업 리더급 연구역량강화(전략기술형) 신규과제 재공모 양자정보과학 분야 리더급 연구자의 혁신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비 지원, 인력 양성, 국제 공동연구, 장비 구축 등 direction 본 사업은 양자정보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리더급 연구자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장기적·집중적인 연구비 지원이 특징입니다. 국제 공동연구, 인력양성, 장비구축 등이 포함되어 해당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성과의 파급효과가 큰 만큼, 연구계획서의 독창성과 실현 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09.17 (마감됨)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APEC 협력사업(네트워크) 신규과제 공모 공고 APEC 석학 초청 라운드테이블, 다자협력 네트워크 구축비 전액지원 direction 국제 과학기술 협력 분야에서 우리나라 주도의 거버넌스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과제로, 다자 연구협력 생태계를 구축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책연구기관이나 과기정통부 산하 R&D 수행기관 등 네트워크와 기획력이 있는 기관이 적합하며, 선정 시 국제 행사 기획·운영 및 APEC 전략 수립을 주도하게 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8.29 (마감됨) 총 사업비 297,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297,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한-UAE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양자 간 공동연구(R&D), 연 5천만원 이내 연구비, 최대 24개월 지원, 한국·UAE 각국의 연구자 개별 지원 direction ICT 기반 생명공학 및 환경기술 분야의 국제공동연구를 위한 전략적 과제로, UAE 두바이와의 실질적 협업을 필요로 한다. 과제당 지원금이 고정된 만큼 연구의 구체성, 실현 가능성, 파급효과를 잘 명시해야 하며, IRIS 및 DFF RDI 시스템 양쪽 모두의 절차를 이해하고 충실히 준비해야 선정 가능성이 높다. 접수 마감일 2025.07.28 (마감됨) 총 사업비 1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1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한-이탈리아 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연간 최대 3천만원, 총 3년간 한-이탈리아 공동연구비 지원 및 국제협력활동비 포함 direction 본 사업은 국제공동연구 역량 강화와 양국 과학기술 협력 증진을 위한 기회로, 환경·에너지, 양자과학, 나노소재, 인공지능-의료 등 첨단분야 5개 중 하나를 선택해 3년간 연구를 수행합니다. 국내는 IRIS, 이탈리아는 MAECI를 통해 각각 신청해야 하며, 양국 동시 접수 및 분야 일치가 필수 조건입니다. 과제 수는 제한적이나, 연구비는 실질적이며 교류비용까지 포함되어 있어 글로벌 R&D 기반을 다지려는 기관에 적합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8.04 (마감됨) 총 사업비 9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9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한-중 산ㆍ학ㆍ연 대형 공동연구 신규과제 공모 최대 3년간 연 5억원 지원, 한-중 공동 연구, 논문·특허·세미나 목표 설정 direction 한-중 과학기술협력의 전략적 심화와 글로벌 공동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는 고예산 대형과제입니다. BT·ICT 분야에서 3개 기관(대학, 연구소,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형태가 필수이며, 양국 연구자가 각각 자국 시스템에 동일 분야로 동시 접수해야 하므로 긴밀한 사전 협력이 필요합니다. 평가항목은 협력 필요성, 실현 가능성, 상용화 계획, 국제 공동성과 창출 등이 중심이므로 공동 논문·특허 계획이 핵심입니다. 연구개발과제 수 제한(3책5공), 유사과제 중복, 기업부담금 조건 등도 유의해야 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8.27 (마감됨) 총 사업비 3,0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1,5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제2차 과학기술분야 연구기획과제 재공모 공고 연구기획과제 수행비 지원, 간접비 포함 direction 과학기술 정책 및 국제협력 이슈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기획 사업으로, 정책 반영성과와 기획력 중심의 과제가 우선됩니다. IRIS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이며, 기관 승인 절차가 필수이므로 사전 조율이 중요합니다. 중복지원 제한, 평가항목 명확함. 접수 마감일 2025.07.15 (마감됨) 총 사업비 1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3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사업 신규과제 재공모 연 14억원 내외, 총 3년 이내 핵심 기초연구비 지원 direction 양자컴퓨팅·센싱 등 3개 핵심 세부기술 분야에 대한 기초 원천연구를 목표로 한 국가연구사업으로, 대형 국책과제에 준하는 장기 연구개발 지원입니다. 기초역량이 검증된 산·학·연 기관이 참여 가능하며, 연구책임자의 자격요건과 연구개발계획서 요건이 까다로워 세부 기획 및 사전 컨소시엄 구성 준비가 중요합니다. 접수 마감일 2025.07.15 (마감됨) 총 사업비 4,200,000,000원 기업당 지원비 1,400,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2025년 이화의대부속목동병원 바이오 Core Facility 구축사업 공동연구개발기관(입주기업) 모집 공고 병원 내 장비 무상 사용, 맞춤형 실험 컨설팅, 연구 공간 제공 direction 병원 기반의 실증 인프라를 활용하여 바이오·헬스케어 스타트업에게 핵심 장비를 무상 제공하고, 실험 기획 및 실행을 병원과 공동 수행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연구 데이터 확보, 제품 검증, 실증 기반 확보에 유리하며, 서울 소재 병원과 협력할 수 있는 구조로 바이오 기업의 임상 전 단계 진입에 최적화된 사업입니다. 접수 마감일 2025.07.31 (마감됨) 총 사업비 0원 기업당 지원비 5,000,000원 외부링크 지원분야 기술 창업기간 전체 기업형태 전체
    1 2 3
    고객지원·서비스장애·제휴·제안·기타 문의 : (+82) 0505-901-9000 주식회사 위티브 대전 서구 만년로68번길 15-20, 대전콘텐츠기업지원센터 301호 커넥트 서비스 소개 주식회사 위티브 웹픽